44 |
|
|
|
|
∙ 대산大蒜: 마늘 종류. 오기준吳其濬의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에 따르면, 대산大蒜은 ‘호葫’라고 하며 ‘이시진李時珍은 쪽[瓣]이 많은 것이 대산大蒜이라 변별했다’고 기록했다. 吳其濬, 欒保群 校注, 「植物名實圖考」, 北京: 中華書局, 2022, 122쪽.
∙ 혹或: 맥락에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
-
|
12-02 |
368 |
43 |
|
|
|
|
∙맥황麥黄: 누룩의 일종. 누룩곰팡이와 밀기울, 보리, 콩 등을 섞어서 발효시킨 것으로서 술을 담을 때 사용한다.
∙약개箬蓋: 댓잎으로 만든 덮개.
∙멸편篾片: 대나무 껍질 조각.
∙천芊: 초목이 무성한 모습. 여기에서는 ‘꼬챙이로 꽂다’라는 뜻의 ‘천扦’과 통하는 글자로 보았다.
∙로滷: 소금을 뿌려놓은 음식에서 나오는 즙이나 물기.
|
-
|
12-02 |
357 |
42 |
|
|
|
|
∙진피陳皮: 귤 껍질 말린 것.
∙조죽稠粥: 되게 쑨 죽.
∙담罈: 아가리가 좁고 배가 큰, 항아리.
∙열일중烈日中: 햇살이 뜨거운 한낮에.
|
-
|
12-02 |
388 |
41 |
|
|
|
|
∙시체柿蒂: 감꼭지.
∙합리蛤蜊: 개량조개.
∙정丁: 조개의 관자.
|
-
|
12-02 |
347 |
40 |
|
|
|
|
∙하河: 황하. ‘강’이라는 일반명사로 풀 수도 있으나 본문의 뒤에 ‘장강長江’을 뜻하는 ‘강江’이 별도로 나오기 때문에 고유명사로 풀었다.
|
-
|
12-02 |
351 |
39 |
|
|
|
|
∙라籮: 광주리.
|
-
|
12-02 |
362 |
38 |
|
|
|
|
∙사砂: 모래[사沙]같은 결정.
∙조초糟醋: 술지게미 식초. 조糟와 초醋를 따로 보아서, ‘술지게미와 식초’로 풀 수도 있다.
38-1) 38 뒷부분의 기록
숯 한 덩어리를 넣으면 어백이 변질되지 않는다. 구릿대뿌리 두 돈을 ‘취해’에 넣으면 어백이 뭉쳐져 (사그라지지 않는데), 약초 맛이 나서 맛이 좋지 않을까 걱정이다.
炭一塊則蟹膏不沙. 以白芷二錢入醉蟹則膏結實, 恐有藥氣, 不佳.
|
-
|
12-02 |
403 |
37 |
|
|
|
|
∙홍烘: 불을 쬐다, 굽다.
∙사당砂糖: 가루 당. 설탕으로 풀이하였다. 설탕을 돼지고기에 뿌리면 누린내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설탕물에 담글 경우 핏물이 빠지면서 누린내를 잡을 수 있다.
∙기식氣息: 냄새. 돼지고기 누린내를 가리킨다.
∙량晾: 햇볕을 쪼이다.
∙파巴: 햇볕에 말린 고기를 ‘파巴’라고 한다. 여기서는 앞에서 햇볕을 쪼인 돼지고기를 가리킨다.
∙철상鐵床: 문맥으로 보아 철로 만들고 바닥이 침상처럼 평평한 조리도구라고 생각된다. 평평한 번철이라고 풀이하였다.
|
-
|
12-02 |
389 |
36 |
|
|
|
|
∙24)에도 풍어風魚의 다른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
-
|
12-02 |
379 |
35 |
|
|
|
|
∙정蟶: 맛조개.
∙일복시一伏時: 만 하루.
∙공건控乾: 식재료에서 나오는 물기를 제거하다.
∙숙유熟油: 열을 가한 기름을 말한다. 원재료를 익힌 다음에 짠 기름을 숙유라고 칭하기도 한다.
∙분分: 무게 단위로서, 한 량兩의 1/100에 해당한다.
∙반삼飯糝: 밥알.
∙합合: 용량 단위로서, 1 되[승升]의 1/10에 해당한다.
∙마근馬芹: 향신료인 쿠민Cumin.
|
-
|
12-02 |
373 |
34 |
|
|
|
|
∙소료小料: 국수에 곁들여 먹는 양념으로서 대파 채썬 것, 마늘편, 겨자장 등을 말한다. 여기서도 간단한 양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원유芫荽: 고수. 향채香菜의 일종이다.
∙장즙醬汁: 장청醬淸은 두장 항아리 안에 체를 꽂고 속에 고인 액즙을 취한 것으로서 장의 부산물이다. 장즙醬汁은 장을 물에 녹여 끓여서 취한 즙으로서 장청과는 다르다.(中村喬, 「明代の料理と食品: 「宋氏養生部」の硏究」, 京都: 中國藝文硏究會, 2004, 118쪽)
|
-
|
12-02 |
394 |
33 |
|
|
|
|
∙작焯: 데치다.
∙뉴건紐亁: 비틀어 짜서 물기를 없애다.
∙화급火急: 화급하게, 대단히 급하게.
|
-
|
12-02 |
387 |
32 |
|
|
|
|
∙초과草果: ‘초두구’의 일종. 생강과의 식물로서, 그 열매는 맵고 떫은 맛이 나는데 비위를 따뜻하게 해주는 약재로 사용된다.
∙희포稀布: 성기게 짠 포.
∙탕라盪鑼: 구리솥.
∙상압上壓: 위쪽에서 누르다. 위아래 문맥으로 보아 구리솥의 뚜껑 등으로 덮어서[개蓋] 꾹 눌러두는 것 같다.
∙잉仍: 여전히, 그대로. 단어의 의미를 살려 육수를 부은 다음에도 뚜껑을 덮어두는 것으로 풀이하였다.
∙엄채醃菜: 채소를 소금에 절인 것.
|
-
|
12-02 |
404 |
31 |
|
|
|
|
∙도화刀花: 칼자국.
∙계界: 분획分劃하다. 칼집내다로 풀이하였다.
∙전계磚階: 벽돌로 쌓은 계단. 직육면체 돼지고기에 칼집을 낸 모양을 형용한 표현이다.
∙첨장甜醬: 밀가루, 누룩 등을 이용해 만든 장. 숙성 과정에서 단맛이 난다.
∙산랑蒜榔: 산蒜은 마늘, 랑榔은 빈랑이다. 그런데 문맥상 마늘과 빈랑이 아니라 하나의 사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정확하게 알기 어려워서 우선 마늘로 풀이하였다.
∙포개蒲蓋: 부들로 만든 덮개.
∙민悶: 여기서는 민燜의 뜻으로 풀이하였다. 민燜은 밀폐[민悶]하여 은근한 불로 익히는 방법이다.
|
-
|
12-02 |
348 |
30 |
|
|
|
|
∙정향괴자丁香塊子: 향신료로 사용하는 정향丁香은 정향나무의 꽃봉우리 말린 것을 가리킨다. 정향의 크기는 약 3㎝ 정도이다.
∙황미黃米: 기장을 껍질을 제거하고 나면 노란색을 띠는 낱알이 남기 때문에 ‘황미’라고 이름한다.
∙승반升半: 1.5 승.
∙청용聽用: 다음에 사용될 수 있도록 기다리다.
∙미국米麯: 쌀을 주원료로 만든 누룩.
∙미초米醋: 멥쌀이나 좁쌀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식초. 「제민요술」에는 좁쌀, 차좁쌀 등을 이용해 식초를 만드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누룩류나 초산균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쌀과 물을 이용해 여름철에만 빚는 식초’라고 소개한 경우(賈思勰, 최덕경 역주, 「齊民要術譯註 Ⅳ」, 서울: 세창, 2018, 69쪽)도 있다.
|
-
|
12-02 |
383 |
29 |
|
|
|
|
∙견수見水: 물에 의해서, 즉 물로.
∙화개化開: 녹이다.
|
-
|
12-02 |
384 |
28 |
|
|
|
|
∙신국神麯: 여뀌, 살구씨, 도꼬마리 등을 밀가루나 밀기울에 섞어 발효시킨 누룩. 약재로 쓰인다.
|
-
|
12-02 |
365 |
27 |
|
|
|
|
∙편匾: 납작하다.
∙실實: 빈틈이 없도록 하다.
|
-
|
12-02 |
383 |
26 |
|
|
|
|
∙신국神麯: 여뀌, 살구씨, 도꼬마리 등을 밀가루나 밀기울에 섞어 발효시킨 누룩. 약재로 쓰인다.
|
-
|
12-02 |
364 |
25 |
|
|
|
|
∙장유세정醬油洗浄: 이 부분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 고기를 간장에 재운 후, 익히기 전에 간장 기운을 씻어낸다는 의미일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씻은 고기[洗浄]를 간장에 재우는 것[醬油]으로 풀었다.
∙육사肉絲: 실처럼 잘게 썬 고기, 혹은 잘게 썬 고기를 조리한 음식.
|
-
|
12-02 |
3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