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고전번역
> 첨식류 준생팔전·음찬복식전
수활면방水滑麵方
원문
번역
동시보기
원문
用十分白麵, 揉搜成劑. 一斤作十數塊, 放在水内, 候其麵性發得十分滿足, 逐塊抽拽, 下湯煮熟, 抽拽得濶薄乃好. 麻膩·杏仁膩·醎笋乾·醬瓜·糟茄姜·醃韮·黄瓜絲作虀. 頭或加煎肉, 尤妙.
번역
완전히 흰 밀가루를 주무르고 반죽하여 덩어리로 만든다. 한 근을 열 개 남짓 되는 덩어리로 만들어 물 안에 넣고 밀가루 반죽의 탄성이 온전히 만족스럽게 발휘되길 기다렸다가 한 덩어리 한 덩어리 차례로 (매만져서 국수로) 뽑아 당겨서 끓는 물에 넣고 끓여서 익히는데, 넓적하고 얇게 (국수를) 뽑고 당겨야 좋다. 마니麻膩, 행인니杏仁膩, 염지한 말린 죽순, 장에 넣은 오이, 술지게미에 절인 가지 및 술지게미에 절인 생강, 절인 부추, 오이 채 썬 것을 (국수에 얹을) 양념으로 만든다. 가장 위에 혹 지진 고기를 보태면 더욱 좋다.
[주석]
상세한 주석은 다음의 논문을 참고해 주세요.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논문의 일부만 아래 논문에서 발췌, 인용합니다.  정세진,「『遵生八箋·飮饌服食箋·甛食類』 譯註」, 『중국산문연구집간』 Vol.17, 2024, 214-280쪽.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