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고전번역
> 첨식류 준생팔전·음찬복식전
종자법粽子法
원문
번역
동시보기
원문
用糯米淘浄, 夾棗·栗·柿乾·銀杏·赤豆, 以茭葉或箬葉裹之. 一法, 以艾葉浸米裹, 謂之艾香粽子. 凡煑粽子, 必用稻柴灰淋汁煑. 亦有用些許石灰煑者, 欲其茭葉靑而香也.
번역
찹쌀을 깨끗이 씻어서 대추·밤·말린 감·은행·팥을 (그 속에) 끼워 넣은 후, 줄풀잎이나 댓잎으로 그것을 싼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물에 담가 (불려 놓은) 쌀을 쑥잎으로 싸는 것인데 이것을 ‘쑥 향기가 나는 종자’라고 부른다. 무릇 종자를 끓일 때는 반드시 ‘볏짚을 태워 만든 재에 물을 뿌려서 여과하여 만든 즙’으로 끓여야 한다. 또 약간의 석회를 사용해 끓이는 방법도 있는데 그 쑥잎을 (더) 푸르고 향기롭게 하고자 해서이다.
[주석]
상세한 주석은 다음의 논문을 참고해 주세요.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논문의 일부만 아래 논문에서 발췌, 인용합니다.  정세진,「『遵生八箋·飮饌服食箋·甛食類』 譯註」, 『중국산문연구집간』 Vol.17, 2024, 214-280쪽.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