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고전번역
> 가소류 준생팔전·음찬복식전
32) 건폐옹채乾閉瓮菜 - 물기 없이 밀봉해서, 옹기에 보관하는 채소 절임.
원문
번역
동시보기
원문
菜十斤, 炒鹽四十兩, 用缸醃菜. 一皮菜, 一皮鹽, 醃三日, 取起. 菜入盆内, 揉一次, 將另過一缸, 鹽瀂收起聽用. 又過三日, 又將菜取起, 又揉一次, 將菜另過一缸, 留鹽汁聽用. 如此九遍完, 入瓮内, 一層菜上, 洒花椒·小茴香一層, 又裝菜如此, ????????實實裝好. 將前留起菜瀂, 每罈洨三碗, 泥起, 過年可吃.
번역
 채소 열 근에 볶은 소금 사십 냥(의 비율로) 항아리[缸]에다 채소를 절인다. 채소 한 겹, 소금 한 겹으로 (넣어서) 사흘 동안 절인 후 끄집어낸다. 채소를 동이 안에 넣어 한 차례 주물러 별도의 항아리[缸]에 넣되 소금 간수는 거두어서 다음에 쓸 수 있도록 둔다. 다시 사흘이 지나면 채소를 끄집어내서 또 한 번 주무르며 별도의 항아리[缸]에 넣되, 소금물을 남겨두었다가 다음에 쓸 수 있도록 둔다. 이와 같이 아홉 번을 다 하고 나면 옹기에 넣는데, 채소 한 켜에 술, 산초, 소회향 한 켜를 뿌리는 방식으로 채소를 담는데, 단단하고 빽빽하게 잘 담아야 한다. 앞서 채소를 절이면서 남겨두었던 소금물을 옹기마다 세 주발씩 끼얹은 후 진흙으로 봉하면, 그 이듬해에 먹을 수 있다.
[주석]
∙ 항缸: 항아리. 보통 입구가 크고 바닥이 작으며, 목이 없는 항아리를 말한다. 
∙ 로瀂: ‘로鹵’와 통하는 글자이며, 소금물이라는 뜻이다. 
∙ 청용聽用: 다음에 사용될 수 있도록 기다리다. 
∙ 옹瓮: 옹기. 사물을 담을 수 있도록 배가 큰 옹기를 가리킨다. 보통 입구가 좁고 배가 크며 입구를 밀봉하기 좋도록 만든다. 
∙ 담罈: 항아리. 원문의 맥락으로 볼 때 이 글자는 앞에 나오는 ‘옹瓮’을 가리킨다. 
∙ 효洨: 원래는 강이름인데, 원문에서의 맥락으로 볼 때 ‘요澆’처럼 ‘물을 끼얹다’라는 의미로 풀어야 할 듯하다. 
∙ 과년過年: 원문에서는 ‘그 이듬해’로 풀었으나, ‘설을 쇨 때’로 풀 수도 있다.
「중궤록中饋錄」에도 같은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정세진, 「「中饋錄」譯註」, 「중국산문연구집간」Vol.11, 2021, 219-220쪽)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